라벨이 정책논쟁인 게시물 표시

국민 25만원 지역화폐, 2차 추경 오냐? 경제 살리기vs물가폭탄 논란

이미지
요즘 지갑이 얇아졌다고 아우성인 사람들이 많습니다. 정부가 이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꺼내드는 분위기입니다. 바로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소식인데, 핵심은 ‘전 국민 25만 원 지역화폐’ 지원입니다. 과연 이 정책이 경제를 살릴지, 아니면 또 다른 부담이 될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추경이 뭐길래 이렇게 시끄러워? 추가경정예산(추경)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나라 살림 원래 계획에 더해 돈을 추가로 쓰는 것을 추경이라고 합니다. 경기가 갑자기 침체되거나 국민의 생활이 어려울 때, 정부가 돈을 풀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으려는 목적입니다. 이번 추경은 최소 20조 원 규모로 예상되며, 이 돈을 어디에 쓸지가 핵심 쟁점입니다. 25만원 지역화폐, 이거 받으면 진짜 좋냐? 전 국민에게 지급되는 25만 원 지역화폐는 당장 동네 슈퍼나 식당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소비가 늘어나면서 소상공인들에게는 숨통이 트일 수 있습니다. 과거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도 유사한 지원금이 단기적인 소비 진작 효과를 보인 바 있습니다. 돈이 생기면 소비하려는 경향이 있으니, 단기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한 번 사용하고 나면 소비 심리가 다시 위축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돈 풀면 다 좋아? 물가 오르는 거 아님? 여기서부터 의견이 갈립니다. 지금도 계란값과 삼겹살값이 치솟는 등 물가 불안정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조 원이 넘는 돈이 시중에 풀리면 물가가 더욱 상승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안 그래도 고물가로 서민들의 부담이 큰데, 돈을 풀어 물가를 더 자극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입니다. 정부는 민생 안정을 목표로 하지만, 자칫하면 ‘ 물가 폭탄 ’만 남길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나랏빚은 누가 갚냐? 또 다른 문제는 국가 부채입니다. 20조 원이라는 막대한 금액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돈이 아니라, 대부분 빚을 내어 충당해야 합니다. 안 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