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전력직구인 게시물 표시

전기요금 아끼려 한전 건너뛴다, 대기업 전력 직구 시대의 개막

이미지
대기업은 왜 한전을 떠나나? 최근 한국 경제계에 심상치 않은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전기를 공급하는 한국전력(한전)을 거치지 않고, 기업이 직접 전기를 사서 쓰는 ‘전력 직접 구매 계약(PPA)’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LG화학이 전력 직구를 시작했고, SK, 한화, 코레일 등 다른 대기업들도 이를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이는 단순히 전기요금을 아끼는 차원을 넘어, 대한민국 에너지 시장의 근본적인 판도를 바꾸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입니다. 🏭 살인적인 전기요금, 기업의 생존 전략 최근 몇 년간 글로벌 에너지 가격 급등과 한전의 누적 적자로 인해 산업용 전기요금은 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 등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우리나라 주력 산업에 이는 곧바로 생산 원가 부담으로 이어졌습니다. 수출 시장에서 0.1%의 가격 경쟁력이 아쉬운 상황에서, 치솟는 전기요금은 기업의 경쟁력을 갉아먹는 심각한 위협 요인이 된 것입니다. 결국, 기업들은 살아남기 위해 한전이라는 단일 구매처를 벗어나 새로운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해답이 바로 ‘전력 직구’입니다. 전력 직구(PPA), 무엇이 좋은가? ⚡️ 전력 직구, 즉 PPA(Power Purchase Agreement)는 기업이 발전사업자로부터 전력을 직접 구매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보도에 따르면, 기업들은 이를 통해 기존 한전 요금보다 kWh당 약 30원가량 저렴하게 전기를 확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엄청난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옵니다. 또한,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와 직접 계약할 경우, 전 세계적인 화두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목표, 특히 RE100(사용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을 달성하는 데도 유리합니다. 비용 절감과 친환경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셈입니다. 에너지 시장의 지각변동 예고 대기업들의 ‘한전 패싱’ 현상은 여러 시사점을 던집니다. 우선, 한전의 독점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