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2차 추경 20조원, 25만원 지역화폐 풀면 경제 살아날까?
야, 돈 푼대! 이게 뭔 일이냐? 지금 나라가 경제를 살린다고 난리다. 특히 '돈 풀기' 얘기가 아주 뜨겁지. 이재명 정부가 최소 20조 원 넘는 돈을 추가로 풀어서 경기 부양에 나서겠다고 하네? 그중에서도 전 국민한테 25만 원씩 '지역화폐'로 뿌린다는 얘기가 솔깃하다. 솔직히 나랏돈 쓰는 걸 보면 불안하기도 한데, 이게 과연 우리 주머니를 두둑하게 해줄까? 경제는 또 어떻게 돌아갈까? 함께 자세히 알아보자. 추경이 뭔데? 지역화폐는 또 뭐고? 💰 나라 곳간 열린다! '추경'의 모든 것 ‘추경’은 '추가경정예산'의 줄임말이다. 쉽게 말해 정부가 이미 정해놓은 1년치 예산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될 때, 나라 살림을 위해 예산을 추가로 편성하는 것이다. 주로 경기가 둔화되었거나, 갑자기 대형 재난이 발생했을 때 경제를 살리고 민생을 안정시키려고 쓰는 비장의 카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도 경제가 삐걱거리니까 정부가 적극적으로 돈 풀기 정책을 펼치려는 모양새입니다. 최소 20조 원 이상이라고 하니, 꽤 큰 규모입니다. 더욱이 해외 투자은행(IB)들도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는 것을 보면, 일단 시장 반응은 긍정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 내 손안의 돈, '지역화폐'는 꿀? 독? 이번 추경의 핵심은 바로 '지역화폐'다. 특정 지역에서만 쓸 수 있는 돈인데, 이걸 전 국민에게 25만 원씩 주겠다는 거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만 돈을 사용하게 되므로, 침체된 지역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당장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어 환영할 만합니다. 실제로 소상공인 53%가 지역화폐가 경기 진작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오르는 물가, 터질 듯한 부채는 어쩌나? 하지만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돈을 이렇게 대규모로 풀면, 시중에 돈이 너무 많이 풀려 물가가 오를 수도 있습니...